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손만 잘 씻으면 되나요? 여름철 식중독 예방법

by 빵썬이 2024. 6. 10.
반응형

안녕하세요 빵써니입니다. 오늘은 식중독 예방법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저번에는 세균성 식중독, 병원성 식중독 등 여러 종류를 정리했었는데요.
오늘은 한번에 모아 공통적인 예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 식중독이란?

식품기인성 질환으로 소화기를 통한 식품의 섭취로 인체에 유해한 병원성 미생물 또는 유독, 유해한 물질에 의하여 발생하였거나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으로 그 증상이 비교적 급격한 생리적 현상을 말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식품 또는 물의 섭취로 발생하였거나 발생된 것으로 생각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병원성 미생물의 섭취나 그 균이 생성한 독소를 함유한 음식물을 먹고 설사, 복통, 발열, 구토, 메스꺼움 등의 급성위장염 증상과 신경증상을 일으키는 질병을 말합니다.



 

2. 감염 경로 및 증상

 

대부분의 식중독은 잠복기가 짧고 지속기간도 짧습니다. 증상은 오심, 구토, 설사, 복통, 두통, 발열 등입니다.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수도 있으니 증상이 있다면 바로 병원에 가는 걸 추천드립니다.
음식으로 인해 감염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흔하지 않지만 사람과 사람사이에 숟가락을 공유한다거나 등의 행위로 전파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6월부터 9월까지 부패,곰팡이로 인한 식중독이 가장 많이 발생하고 겨울철에는 조개같은 패류를 먹고 노로바이러스 등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모든 식중독 예방방법

대부분의 식중독은 아래의 방법만 따라하면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식품 재료는 신선하고 품질이 양호한 것을 사용한다
  • 소비기한과 보관방법을 준수한다
  • 어패류 및 육류는 비닐에 따로 담아 보관한다
  • 생닭은 세척하지 않는다 (반드시 익혀서 세척)
  • 냉동된 제품을 해동 후 재냉동하지 않는다
  • 전자레인지에서 해동한 제품은 즉시 조리한다
  • 요리 전 손과 칼, 도마를 깨끗이 닦는다
  • 과일이나 채소는 흐르는 물로 깨끗이 씻는다
  • 육류와 어패류를 한 도마에서 같이 손질하지 않는다
  • 맨손으로 계란을 만지면 손을 씻는다
  • 어패류가 의심될 땐 뜨거운 물에서 1분이상 가열 후 섭취한다
  • 곡류에 곰팡이가 피었을 경우 전량 폐기한다

 



어떠신가요? 위의 내용만 준수하면 대부분의 식중독은 예방 할 수 있습니다. 가장 쉬운 것은 손 깨끗이 씻기입니다.
날이 더워지기 시작했으니 식중독 조심하시고 건강하고 안전하게 식사하시길 바랍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댓글 주시고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