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위생18 6. 노로바이러스 식중독과 모든 식중독 예방법 안녕하세요 빵써니입니다. 오늘은 정말 모두가 알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닌 노로바이러스에 관한 내용을 가지고 왔는데요. 노로바이러스를 언제 가장 많이 듣는 것 같나요? 저는 굴이 맛있어지는 겨울에 가장 많이 듣는다고 생각해요. 생굴은 정말 맛있지만 잘못 먹으면 노로바이러스에 걸려 화장실에서 나오지 못하는 대참사가 벌어지기도 합니다. 노로바이러스가 무엇이고 어떻게 예방해야 하는지 알아두면 유용하겠죠? 그럼 같이 보실까요?1.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이란?세계적으로 비세균성 장염원인의 90% 이상, 미국에서 식중독 사건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중요한 식중독 원인균이다. 외가닥의 RNA를 가진 껍질이 없는 바이러스로 사람의 장관에서는 증식할 수 있으나 동물이 나 세포배양으로는 배양되지 않는다. 연중 발생 가능.. 2024. 5. 30. 5. 모르면 큰일나는 보툴리누스 식중독과 예방법! 안녕하세요 빵써니입니다. 오늘은 세균성 식중독의 마지막 편인 보툴리누스 식중독입니다. 여러 유명한 식중독균에 대해 설명드렸었는데요. 보툴리누스균은 정말 흔하고 널리 알려져 있는 세균이라 마지막 편에 담아보았습니다. 그럼 함께 보시고 안전하게 식품 섭취하도록 해요~!!1. 개 요보툴리누스균이 식품 중에서 협기성 상태로 증식하여 생산한 독소의 경구섭취로 발생하는 독소형 식중독이다. 세균성 식중독 가운데 증상이 매우 심하고 위험하여 치명률이 가장 높다. 이 식중독은 18~19C에 유럽, 특히 독일에서 소시지에 의한 경우가 많아 일명 소시지 중독이라고도 하였다. 보툴리누스는 라틴어로 소시지라는 뜻으로 보툴리즘은 1800년 Kemer가 명명하였다. 1895년 벨기에에서 처음으로 세 사람의 사망원인인 햄에서 균을 .. 2024. 5. 29. 5. 캠필로박터 식중독이란? (식중독 예방법) 1. 기본 설명미호기 상태에서 증식하는 캠필로박터는 옛날에는 소나 양에게 유산을 일으키는 병원균으로 알려져 비브리오속으로 분류되었고 1970년까지는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1972년에 처음으로 설사환자의 분변에서 검출되어 설사증의 새로운 원인균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1980년대 초기부터 캠필로박터의 분리배지나 간단한 미호기 배양법의 개발로 연구가 급속히 진행되어 본 균이 설사증이나 식중독의 원인세균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에서는 살모넬라보다 많은 설사증의 원인이 되고있고, 2세 이하의 어린이 감염률이 매우 빈번하여 사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선진국에서도 이 균에 의한 식중독 발생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원인은 확실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가축이나 개, 고.. 2024. 5. 27. 5. 장염 비브리오 식중독이란? (식품위생학) 안녕하세요 빵서니입니다. 곧 여름으로 들어서는 6월이 오는데요. 6월부터는 해산물을 조심해서 드셔야겠습니다. 6월부터 10월까지 날 것의 해산물을 먹는건 장염비브리오 식중독에 감염될 수 있으니 피하시고 11월부터 드시길 바랍니다. 감염되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고 지속기간은 얼마인지 함께 알아보고 예방할 수 있도록 합시다.1.장염비브리오 균은 무엇일까?장염비브리오균은 1950년 일본 오사카를 중심으로 집단 발생한식중독의 원인균으로전갱이포가 원인식품이었다.5년 후인 1955년 다키가와는 요코하마에서 병원급식으로 나옴 절인 오이에서 식중독균을 분리하여 호염균이라 명명하였다. 그 후 1963년 후쿠미와 사카자키에 의해 비브리오에 속하는 균종으로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장염비브리오 식중독은 6~10월의 여름철에 집중.. 2024. 5. 26.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