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위생18

4. 식품의 부패 및 저장 (저장편) 안녕하세요 빵써니입니다. 이번엔 저장 편인데요! 식품을 저장하는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냉동저장법이나 냉장저장법은 우리가 생활에서 쓰는 냉장고와 냉동고라 생각해 주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 그럼 생활에서 분명 한 번쯤은 써보았을 저장법들에 대해 알아볼까요? 4-1 식품의 저장법식품의 품질이 변하지 않도록 보존하는 것을 저장이라 하는데, 여기서 품질이라고 하는 것은 기호적 가치를 중시하여 맛을 의미한다. 맛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식품의 물리적, 화학적 상태 등을 중시하여야 한다. 식품 저장을 위해서는 품질을 변하게 하는 요인과 영향을 주는 인자가 무엇인지, 영향을 미치는 한계는 어디까지인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4-1-1. 물리적 저장법식품이 변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저장방법으로 유해미.. 2024. 5. 19.
4. 식품의 부패 및 저장 (2) 안녕하세요 빵써니입니다. 오늘은 부패의 판정에 대해 정리해보았는데요. 식품이 부패했는지 아닌지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어떻게 부패를 판정하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그럼 함께 보시죠!4-2 부패의 판정식품은 자연환경에서 미생물에 의한 부패로 먹을 수 없게 된다. 특히 가열조리한 식품은 자연식품보다 더욱 부패하기 쉬워 부패한 식품은 모양, 색상, 경도 등의 외관과 이화학적 변화가 일어나고 악취가 나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식별할 수 있어 먹지 않으므로 식품위생상 위험이 없으나, 부패가 시작되는 초기단계에서는 식별이 쉽지 않아 문제가 된다.관능검사에 의한 판정식품의 부패를 인간의 관능 즉 시각, 촉각, 미각, 후각 등에 의하여 판단하는 것을 관능검사(organoleptic examination)라 한.. 2024. 5. 18.
4. 식품의 부패 및 저장 안녕하세요 빵써니입니다. 지난번까진 살균과 소독에 대해 설명했다면 이번부터는 식품의 부패과정, 저장방법에 대해 설명해 볼 텐데요! 우리가 살아가는데 필수인 식품이 어떻게 부패되는지 또 부패를 어떻게 막는지 알아둔다면 상당히 유용할 것 같습니다. 그럼 함께 보실까요?4-1 개요식품을 그대로 방치하면 미생물, 햇볕, 산소, 화학물질 등에 의하여 삭품식품 본래의 성질, 즉 품질적인 면에서 외적 및 관능적 변화가 일어나 식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상태가 되는 것을 변질이라고 한다. 식품의 변질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요소가 단독 혹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수분함량이 높은 식품은 수분증발에 의한 건조, 광선이나 공기에 의하여 산화, 본래 가지고 있는 효소에 의하여 식품의 향, 색, 영양성분 등의 변화,.. 2024. 5. 17.
3. 화학적 소독법 안녕하세요 빵써니입니다. 저번 포스팅이 살균에 관한 것이었다면 이번 포스팅은 소독에 관한 내용입니다. 보통 우리는 상처가 난 부위를 소독하거나 감염방지를 위해 소독을 하는데요. 개인이 하는 소독뿐만 아니라 넓은 범위에 하는 소독까지 어떤 종류의 소독법이 있는지 알아볼까요?3-3 화학적 소독법소독이나 살균에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화학약품이 미생물에 작용하는 기작에 따라 단백질 응고(승홍, 포르말린 등), 산화작용(과산화수소, 과망간산칼륨 등), 단백질과 화합물 생성(염소, 요오드 등), 단백질 변성(강산, 강알칼리, 중금속 염류 등) 등에 의하여 미생물이 살균된다.화학약품의 소독효과는 대상물과 접촉시간이 길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소독제의 농도가 진할수록 효과가 커진다. 그.. 2024. 5. 17.